히잡은 스타일이다-돌체 앤 가바나의 아랍 컬렉션 이번 이탈리아 패션 브랜드 돌체 앤 가바나의 히잡과 아바야 등 아랍의 전통 복식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컬렉션을 보고 있다. 기사로 나온지는 되었는데 문제는 희잡hIjab을 비롯한 아랍의 패션과 그 영향에 대해서는 제대로 짚지 못하는 것 같다. 패션의 역사는 결코 한 방향으로 흐르지.. Art & Fashion/패션 필로소피아 2016.01.20
박사과정 강의를 마치고 올 하반기, 단국대학교 패션산업디자인과 박사과정 학생들과 함께 한 시간이 끝났다. 많은 전시장과 이론수업을 겸했고, 각자 논문을 쓰면서 필요해 보이는 요구조건에 맞는 강의를 찾아 듣기도 했다. 이번 학기로 인연이 끝나는 것이 아니라서, 자주 만나서 나누고 교류하면 좋을것이라.. Art & Fashion/패션 필로소피아 2015.12.16
중국패션시장 마케팅 전략 세미나-섬유센터에서 섬유센터에 다녀왔다. 중국패션시장 마케팅 전략세미나가 있었다. 연사는 Bryan Choo. 패션머천다이저 생활을 17년 정도 하셨고 현재는 중국에서 라이프스타일 샵을 운영하시는 분이다. 자신의 편집샵 WHOUS 에 대한 사례 발표시간이었다. 이런 전략 세미나나 사례 연구들은 들으면 언제든 동.. Art & Fashion/패션 필로소피아 2015.12.16
시몬느 0914-달빛 아래를 걷는 자들의 기쁨 시몬느 0914 오프닝에 다녀와서 "세계적인 핸드백은 모두 이 회사의 것이다"라고 천명하고 다녔던 적이 있다. 마이클 코어즈에서 셀린, 지방시, 버버리까지, 솔직히 ODM을 한국업체가 한다고 생각하지 못했기에 그랬다. 바로 시몬느란 회사가 그 주인공이었다. 비오는 날, 폭우를 뚫고 만났.. Art & Fashion/패션 필로소피아 2015.10.20
패션을 철학한다는 것은 단국대 박사과정을 맡으면서, 김영사와 계약한 패션철학 원고를 하나씩 정리하고 있습니다. 철학과 패션이란 왠지 이질적일 것 같은 세상을 만나게 하는 일은 고단합니다. 국내 학자의 문헌은 없고, 의상학 관련 교수들이 써놓은 패션과 철학을 화두로 한 논문은 인용할 내용이 일절 없.. Art & Fashion/패션 필로소피아 2015.10.07
럭셔리의 역사-철학을 통해 읽는 시간 단국대학교 패션산업디자인과 박사과정 학생들과 매주 금요일날 만나고 있습니다. 대학 강의는 사실 저로서는 처음이에요. 기업강의와 컨설팅, 방송을 통한 대중강연 이외에는 해오질 않아서였죠. 박사과정 학생들이라 다들 현업에서 일을 하고 다른 학생들을 가르치는 분들인데, 그래.. Art & Fashion/패션 필로소피아 2015.10.02
노년을 위한 패션, 시니어는 아름답다 이번 주 한국일보의 <김홍기의 입고존> 칼럼 주제는 시니어 패션입니다. 물론 지면은 8월 15일 광복절 특집으로 인해 다음주로 미뤄졌지만 이번 기회를 빌어 고령화 사회를 향해 달려가고 있는 한국사회의 시니어 문제, 그들의 라이프스타일과 패션의 문제를 다각도로 살펴보고 싶다.. Art & Fashion/패션 필로소피아 2015.08.13
패션은 어떻게 민속을 만나는가 패션은 어떻게 민속예술을 만나는가. 패션은 예기치 않은 다양한 원천에서 영감을 얻어왔습니다. 영감이란 다양함 속에 은폐된 타자의 정신 같은 것이니까요. 예술형식, 삶과 자서전, 일기, 1인칭의 글들, 역사등의 수많은 목소리가 생각에 살을 입히는 매개가 됩니다. 미국 민속예술 박.. Art & Fashion/패션 필로소피아 2015.08.02
이브 생 로랑과 할스턴-70년대 패션의 좌표 올해 패션 전시 중 눈길을 끌었던 <이브 생 로랑와 할스턴-70년대를 만들다> 의 전시 도록을 보고 있습니다. 한섬 강의를 앞두고 이브 생 로랑 공부를 다시 하고 있네요. 파리 패션은 그저 한 지역의 패션이 아닙니다. 그것이 미친 문화적 영향력, 대륙을 넘어 옷과 옷의 유사성까지 디.. Art & Fashion/패션 필로소피아 2015.07.29
차이나 쉬크-알렉산더 맥퀸의 신화를 넘어설까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서 열리고 있는 China : Through the Looking Glass 전시가 인기입니다. 예전 제가 뉴욕메트로폴리탄에서 열린 알렉산더 맥퀸의 회고전을 보러 갔을 때 이 전시가 최고의 인기를 끌었는데 당시 661,509명의 관객을 끌어 미술관이 패션과 결합한 전시를 할 때 어떤 파급효.. Art & Fashion/패션 필로소피아 2015.0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