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 & Fashion/패션 큐레이터의 서재

당신의 드레스 코드는 안녕하신가요

패션 큐레이터 2014. 1. 20. 21:29

 

 

 

오랜만에 패션 큐레이터의 서재 포스팅을 합니다. 매달 150여만원의 신규 도서들을 구매하면서도 저 스스로 방송과 개인적인 저술작업, 전시기획 및 매니지먼트 문제로 블로그에 제대로 글을 못올리고 있습니다. 3명의 대학교수가 선집한 The Meaning of Dress 3판을 재구매했습니다. 이 책은 나온지가 꽤 오래됩니다.

 

그래도 외국 저자들의 판형이 고마운것은 게을러터진 국내교수들과 달리(말로는 증보를 주장하지만 실제로는 표지 디자인만 바뀌어서 나오는 책들이 많죠) 읽어야 할 소재와 내용을 시대에 맞게 재선정하고 정렬합니다. 저는 이들의 이런 태도를 좋아합니다. 일단 교수되고 나면 맨날 바쁘다는 소리는 하지만, 실제로 인터뷰를 해보면 과거 이야기밖엔 할 줄 모르고 학생들에겐 자기가 읽어내야 할 원서 번역이나 시키느라 학생들은 '내가 책 번역하러 학교에 왔냐'는 옹알이를 합니다.

 

패션에 대한 이해가 국소적이고 협소한 이 나라에선 패션과 모드, 드레스의 차이 조차도 매번 설명해야 합니다. 인류학적 관점에서 보는 패션과 드레스의 의미를 하나하나 짚어가는 좋은 글들과 이미지를 또박또박 읽다보면 항상 저에게는 패션의 역사를 공부하던 초기의 마음으로 돌아갈 수 있어서 좋습니다.

 

저는 한국의 복식사가나 혹은 의상학과/의류학과/패션 디자인과 교수들의 글보다, 인류학자나 사회학자, 물질문화를 연구하는 역사학의 텍스트로 부터 패션의 깊은 통찰을 얻을 때가 많습니다. 패션은 그만큼 우리와 함께 해온 유물이고 상품이기에, 인간의 욕망과 시대별로 주어진 열망의 코드가 담겨 있는 것이죠. 이 책은 번역되기가 어려울 겁니다.

 

너무 두껍기도 하려니와, 사실 독자층이 거의 없다고 봐야죠. 정작 읽는다고 해도 에피소드나 소수민족의 패션 이야기들은 패션과 민속학에 깊은 이해를 갖지 못한 이들에게는 너무 딴 세상 이야기처럼 읽힐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인류학의 힘이 얼마나 센지, 이 책은 바로 그런 목마름을 해갈시켜주는 힘이 있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