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는 계속되는 강의로 몸이 지칠만큼 지쳤습니다.
수요일, 오랜만에 혜화동에 나갔습니다. 요즘은 외부강의를 줄이려고
노력 중입니다. 개인적으로 주어진 회사 일과 프로젝트에 매진하려고 하는데요.
그래도 한편 감사한 것은 Art Into Fashion과 같은 테마가 우리 내 일상에서 전시의 소재로
테마로 흥미를 끌며 진입하고 있다는 점일 것입니다. 발품을 팔다보니 좋은 결과들을
얻게 된 것이죠. 문제는 이렇게 발품을 파는 사람은 따로 있고, 누군가 만들어낸
유행을 다시 되판답시고 유사한 전시들을 해보는데 그 결과가 좋지 못할
때입니다. 대부분 학교에서 몸담고 계신 분들이 이런 실수를 잘하죠.
전시란 걸 그저 이력서의 한줄로 생각하는 마음의 습관을
버리지 않는 한, 참신한 전시는 생산되지 않습니다.
패션전문기업을 비롯 일반 대중을 상대로 강의해왔지만
그래도 기회가 될 때면 언제든 해보려고 노력합니다. 패션은 과연
예술일까? 그렇다면 어떤 방식으로 예술이 되어야 하는지 생각해볼 필요가
있겠지요. 그런 주제로 성균관대 대학원 학생들을 상태로 작은 특강을 했습니다.
프레젠테이션은 두 방향으로 나뉩니다. 우리는 흔히 패션과
예술에 대해 논의할 때, 너무나도 지나칠 정도로 사례 위주의 발표를
잘 합니다. 툭하면 콜라보레이션과 디자이너 개별 작품을 소개하는 선에서
끝을 내죠. 그러다보니 패션을 예술의 영역, 적어도 조형예술의 영역에서조차도 협소
하게 읽어냈고, 몸을 상수로 펼쳐지는 패션의 역동적인 측면들을 읽지 못한 채
수박 겉핥기식 이해에 그치고 말았던 적이 많습니다. 사실 이건 현재
우리 곁에서 벌어지고 있는 자칭 패션테마 전시들의 실모습이죠.
그러다보니 툭하면 패션전시랍시고 하는것은 대형 브랜드의
콜라보레이션이나 기존의 외국 전시를 그대로 가져와서 수정없이
옮겨내는 일이 다입니다. 창의성은 없고, 국내 아티스트 몇 명 끼워넣어서
그냥 자칭 '판을 벌이는 것' 그 정도에서 그치는 경우가 대부분이죠. 패션이 예술이
되기 위해 해야 할 것들, 혹은 패션이란 영역을 전시를 통해 보여줌으로써
특화할 내용들을 정작 그 과정에서 다 상실하게 됩니다. 뼈아프죠.
작년 러시아 푸쉬킨 미술관에서 열린 Inspiration Dior 전을 사례로
많은 생각을 풀어봤습니다. 패션전시는 국공립 미술관의 규모에서 열릴 수
있는 것과 대안공간과 같은 독립 스페이스에서 할 수 있는 방향으로 나뉘어야 합니다.
전시개념이 한국에선 여전히 초기다 보니, 우왕좌왕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만큼 패션을 특화
한 전시를 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기존의 큐레이터들은 미술사를 바탕으로 공부를 한 덕에
풍성한 측면도 있지만, 거시적인 젠더의 문제나 시각성등 추상적인 틀 속에서 패션을
읽거나 소비와 몸의 문제 등 이제는 좀 지겨울 수 있는 부분들을 끄집어 내기도
하죠. 반면 의상학 배경의 사람들은 너무나도 협소하게 옷 그 자체에
매이다보니, 거시와 미시 사이의 합류점을 만들기가 어렵습니다.
무엇보다 패션전시를 둘러싸고 고쳐져야 할 점에 대해서
서로가 알지 못하고 기존의 틀을 그대로 고수하면서 툭하면 융합이니
컨버전스니 하는 단어를 써서 방어를 하는 케이스입니다. 패션이든 다른 어떤
전시든 전시행위를 통해 하나의 시각을 교정하고 기존의 방식에 새로운 것을 덧붙일 수
있는 사유의 몫을 주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큐레이터는 항상 치열하게 지나간
복식들의 흔적을 살피고 각 옷에 배어나는 영감의 흔적을 찾아야 합니다.
국내 의상학 관련 교수들의 논문을 보니 대부분 사례를 나열하는 정도에서
머물더군요. 패션을 예술의 영역에서 사유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패션 개념
자체의 다양성을 하나로 통일성있게 묶어야 합니다. 나아가서 현대예술과 미학, 패션이 생산되고
소비되는 동시대의 시장과 모더니티의 특성, 예술을 표방하는 개념패션 Conceptual Fashion에 대한 깊이있는
연구, 신체와 미적기준의 진화, 오리지낼리티의 문제, 패션쇼를 비롯한 퍼포먼스적 관점 등 다양한 것을 결합시켜야 하고,
이 중 하나를 뽑아서 집요하게 물고 늘어지는 노력이 있어야만 합니다. 패션과 현대예술의 관계를 드러낸 문헌들이
많지 않다 보니 담론의 농도와 밀도가 짙어지기는 현재로서는 쉽지 않습니다. 그만큼 초기 단계이고 우리가
어떻게 접근하는 가에 따라 풍성한 전시의 프론티어가 될 수 있기 때문이죠. 기존의 큐레이터들이
패션을 전시할 때,상품으로서, 사회적 재현체로서의 패션을 이해하기 위해서, 다양한
패션계 내부를 만나고 이야기 하고 이해하는 것 부터 시작했으면 합니다.
'Life & Travel > 나의 행복한 레쥬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군산대학교 특강-청춘은 결코 비루하지 않다 (0) | 2012.12.08 |
---|---|
보끄레머천다이징 특강-패션 한류 속에서 성장하는 법 (0) | 2012.12.03 |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명사특강 후기-예술은 발광이다 (0) | 2012.11.02 |
대구 가톨릭대학교 특강-멘토의 기준을 논하다 (0) | 2012.10.29 |
패션비즈 인터뷰 후기-정보과잉사회에서 큐레이터로 산다는 것은 (0) | 2012.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