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 & Healing/내 영혼의 갤러리

팝의 황제 마이클 잭슨-피터팬이 우리곁을 떠날 때

패션 큐레이터 2009. 6. 26. 13:46

 

마이클 잭슨의 두상

스틸소재, <문 워크 앨범 헌정 작품> 줄리언 옥션 소장

 

S#1 팝의 황제 마이클 잭슨을 생각하며

 

오늘 인터넷 공간에 비보가 올랐다. 팝의 황제 마이클 잭슨이 심장마비로 사망했다는 소식이다. 잠시 정신이 몽롱해졌다. 아니 멍하니 빗살무늬 블라인드 틈으로 회백색 하늘을 바라보다, 눈물이 주룩주룩.

 

내가 태어난 해, 11살의 나이로 잭슨 파이브의 일원으로 데뷔했던 가수. 솔로로 전향 후 그가 발표한 모든 앨범은 음악사에 길이 남을 기록을 세웠다. Off the Wall(1979)년을 필두로 스릴러(1982), 배드(1987), Dangerous(1991)년 History(1995)년까지 그의 성장과 성공은 1980년대 초 미국 MTV의 역사를 대변한다. 바로 뮤직비디오가 영화보다 더 큰 인기를 얻고 20세기의 마지막 문화 아이콘이 된 데는 그가 무대연출기술과 춤이 완벽한 호흡을 맞추며 시선을 끌었기에 가능했다.

 

가수로서 명예의 전당에 두번이나 오를 수 있었던 가수는 그가 유일히다. 1970년대 초에 태어난 후기 베이비붐 세대에게 마이클 잭슨은 단순한 가수의 이름이 아니다. 요즘 비보이들의 춤이 전 세계를 휩쓸기 전, 브레이크 댄스란 장르가 인기를 끌게 된 건 오로지 그의 춤 때문이다. <문 워커> 앨범과 더불어 그는 바닥을 유영하는 사람처럼, 아니 공기처럼 떠다니는 발걸음으르 보여주었다. 그 춤을 배우려고 얼마나 차가운 바닥위에서 훈련을 했었는지 모른다. 댄스 베틀이란 단어가 최근의 비보이들을 통해 유행된 단어란 생각. 글쎄 난 아니다. 내가 중학교 시절 이미 어렵게 구한 브레이크 댄스 교본들과 비디오로 배운 춤을, 거의 아크로바트에 가까운 춤을 연습해 이웃 학교의 '좀 논다는'아이들과 맞붙어 대결하기 일쑤였으니 말이다.

 

문워킹을 보며 경악했었다. 그가 보여준 열정은 뜨거움이란 단어로 설명하기 어렵다. 팝의 역사는 그를 통Michael Jackson Glove Collection해 새롭게 재창조 되었다. 25일 그는 심장마비로 우리 곁을 떠났다. 올해 4월 25일 비버리 힐즈에서 있었던 마이클 잭슨의 기념 경매전에 나왔던 두상 작품이다. 아트 뉴스에서 이 옥션 소식을 듣고 급히 카탈로그를 신청해 하나하나 찾아봤었다. 스틸소재로 지구를 위해 싸우는 전사의 모습을 재현한 마이클 잭슨의 두상이다.

 

아래 작품은 이 경매에 나왔던 그의 다섯손가락과 장갑 작품이다. 그의 춤은 발의 스텝과 손의 꺽임, 상체를 고정시킨채, 하체를 철저하게  이용한 아크로바트를 무대에서 보여주었다.

 

그의 죽음은 그와 함께 작업했던 많은 이들을 경악과 슬픔으로 몰아넣었다. 영화 감독 스티븐 스필버그. 마이클 잭슨의 가장 친한 지인이었다. 마이클에게 '네버랜드'의 꿈을 알려준 사람이기도 했다. 그는 신문 인터뷰에서 "엘비스 프레슬리나 프레드 아스테어가 다시 태어날 수 없듯, 마이클 잭슨에 필적할 만한 그 누구도 태어나지 않을 것이다. 그의 재능과 신비감, 경이는 이제 그를 신화로 만들었다"고 논평한다.

 

그와 작업했던 세계적인 영화 감독 마틴 스콜세지는 마이클 잭슨은 특별했다. '배드'앨범을 공동작업할 때, 그의 발걸음은 완벽함에 가까운 정확성과 물이 흐르는 것 같은 유연함을 동시에 보여주었다. 마치 공기속을 관통하는 은빛 탄환처럼 아름다왔다. 그는 진정한 아티스트다. 그가 더이상 우리 곁에 없다는 사실을 받아들이기 까지 꽤 오랜 시간이 흐를것 같다 라고 말했다.

 

제프 쿤스 <마이클 잭슨과 버블>1988년 제작. 도자 세라믹. 106.7 x 179.1 x 82.5 cm). 사진 © 더글라스 엠 스튜디오, LA

 

성형수술에 탐닉했던 팝의 황제. 사람들은 그의 행동이 절제되지 않은 과도함에 젖어있다고 비난했다. 사실 백반증에 의해 얼굴의 색소가 빠져 하얗게 되는 걸 막고자 한 시도였을뿐이다. 거기에 공연중 사고로 안면 전체에 큰 부상을 입었고, 이를 수술하려고 했지만 부작용으로 인해 재차 수술을 시도해야 했던 것이다.

 

난 그를 항상 옹호했다. 앞으로도 그럴것이고. 그의 죽음은 포스트 오바마 세대의 정치적 미감이 '반면교사'로 삼아야 할 부분이 있기 때문이다. 백인 앵글로 색슨과 개신교. 이 세가지 코드가 여전히 미국사회의 주류세력인 WASP의 공통 분모인 것을 모르는 이는 없을 거다.

 

그래서 그는 흑인으로서의 자신의 정체성을 수 없이 부인하고 싶었을지도 모르겠다. 백인이 여전히 주인인 사회를 '목소리' 하나로 싸우며 버텨온 그에겐 백인사회는 영원한 타자이자 희구집단이었을지 모르겠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미식축구 스타 OJ 심슨의 삶과 비교된다. 그는 얼굴만 흑인이었지 백인이 되고 싶어했던 사람이었던 반면 마이클 잭슨은 백인사회에서 소수자로 살아가며, 항상 조각속 원숭이 취급을 받아야 했던 가슴 아픈 한 인간의 삶을 보여주었다는 점이 다르다. 이는 백인우월주의가 아니다. 상처깊은 인간의 내면을 깊이있게 재조명 해주길 바랄 뿐이다. 나는 그를 이해할 수 있다. 그의 삶은 너무나도 언론을 비롯한 주류사회의 질시를 한몸에 받아야 했던 삶인걸 기억하자.

 

흑인들에게 주어진, 그들이 가질 수 있는 부와 명예는 연예와 스포츠 이외의 다른 분야에선 주어지지 않았던 역사. 팝의 황제라 불리웠던 그가 걸어온 길들, 유독 유년시절의 큰 상처들은 평생 그의 행보에 영향을 미쳤다. 위에 소개한 조각작품을 보자. 팝 아티스트 제프 쿤스가 평소에 존경했던 마이클 잭슨을 생각하며 헌정한 작품이다. 그의 애완원숭이 버블과 함께 포즈를 취한 마이클 잭슨. 대중의 아이콘이 된다는 대중이 꿈꾸는 것을 매일 주어야 한다. 그의 주체적 삶은 여기에서 상실된다. 그의 네버랜드가 어린시절의 소중함과 순수의 아이콘이라기 보다, 유년기적 상처를 탐닉하며 자신을 은폐하는 공간으로 변화되어버린 것이다. 그래서 난 그의 삶을 생각할 때마다 가슴이 아프다.

 

 

어린시절 아버지로부터의 아동학대, 형제들로 부터의 욕설과 비난으로 참 많이도 울어야 했던 인간이다. 오죽하면 오프라 윈프리와의 인터뷰에서 그는 얼굴을 가리고 한없이 울었을까? 사람들은 그가 1988년 부터 2005년까지 살았던 <네버랜드> 목장을 보며, 그의 유아기적 성향에 대해 비난의 화살을 날리곤 했다. 음악인들을 향한 도덕주의자들의 단죄는 미국이든 한국이든 어디나 있다. 문제는 정작 '정상인'의 개념과 '세상과의 조화와 화합'을 외치며 재무장을 떠드는 집단치고, 제대로 된 예술을 하는 이들이 거의 없다.

 

꼭 이런 인간들이 무능력을 정치력으로 무장하려고 들고, 정치세력의 힘을 입어 '이름'을 내보려 하지만, 아무리 밀어부쳐도 안되는 건 안되듯, 한 세기의 풍미는 커녕, 기억되지 못한채 구석에 처박혀 잊혀진다. 음악이든 미술이든 어린아이의 순수가 없이 뭔가를 이루려고 하면 안된다. 아무리 과학적 이론과 기술이 받쳐주어도, 결국 내 안의 '영원한 네버랜드'의 꿈을 가진 이들만이 예술의 정수를 캔다.

 

 

이제 그는 없다. 그가 살았던 네버랜드는 여전히 존재하지만, 우리 곁에 왔던 피터팬은 자신을 괴롭히던 것들을 뒤로 하고 생을 마감했다. 그의 죽음앞에, 난 그냥 조용하련다. 오랜동안 그의 팬으로 살았던 세월을 후회해본 없다. 오늘따라 그가 불렀던 Heal the World가 그냥 듣고 싶을 뿐이다. 그는 이제 신화가 되었다. 20세기 팝의 역사, 무대뒤편으로 사라진 그를 잊기 위해 나 또한 오랜 시간이 흐를 것 같다. 마이클 잭슨의 생전에 불렀던 노래 중, 제가 좋아했고 많은 독자분들이 골라주신 4곡을 골라 올립니다. Heal the World / You are not alone / Smile / Ben 순입니다.

 

                                           

 

41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