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 Holic/책 읽기의 황홀

내가 곧 학교니라-입시명문 정글고를 가다

패션 큐레이터 2010. 10. 17. 00:24

 

● 만화에 미치다.....

 

얼마만인지 모르겠다. 만화책을 사서 읽고 또 읽는다. <입시명문 사립 정글고등학교>는 네이버 웹툰에서 4년 넘게 인기를 끌고 있는 만화다. 인터넷으로 보는 것도 좋지만 종이 활자판이 좋아 이번에 6권을 다 샀다. 한 때 한국만화에 대해 심도깊은 글을 쓴 적이 있었다. 천계영의 <오디션>을 시작으로, 박흥용의<구름을 벗어난 달처럼>과 <내 파란 세이버> 등 가히 작가주의란 관점을 통해 읽어야 할 만큼, 독특한 주제의식과 작가의 혼이 느껴지는 작품이었다.

 

만화는 제 8의 예술로서 승격한지 오래다. 영화의 뒤를 이어 대중문화의 꽃이 되었지만 작품과 작가에 대한 진중한 접근이나, 미적 해석에 대해선 항상 뒤쳐져 있다. 김규삼이란 만화가를 알게 된 건 최근이다. <정글고등학교>는 워낙 두터운 팬층을 가지고 있는 연재만화인데다, 만화 속 주인공을 흉내 내는 코스프레까지 벌인 걸 보면, 필자에게 언제적 만화를 읽고 있느냐고 핀잔을 줄 지도 모르겠다.

 

만화 속 캐릭터와 더불어 그려내고자 하는 한국의 교육현실, 적어도 '사립학교'란 작은 공간이 한국사회 부조리의 축소판으로서, 일종의 렌즈 역할을 한다는 점을 깊게 깨달을 수 있었다. 한국사회만큼 교육담론에 관심이 많은 나라도 없지 싶다. 문제는 여기에서 교육이란 두 음절의 단어가 '대학입시'란 현행 시스템에만 관련해서 관심을 얻는 다는 점일 거다.

 

말로만 교육은 백년지대계이지, 실제로는 대학입시를 위한 기술의 전수장이 된지 오래이고, 정작 평생을 통해 이뤄져야 할 교육시스템은 만들 엄두도 내지 못한다. 그저 대학 졸업하고 야간 대학원가서 '직장인인데 너무 빡세게 굴리지 마세요' 이 따위 소리나 지껄여대면서 학위 따고 '몸값'올린다고 말하는 직딩들이 판친다. 실제 공부의 과정에는 관심이 없고 '학위'에만 미친 것들의 사회. 적어도 한국에서 대학원을 다니면서 봤던 익숙한 모습이다.

 

누가 그들을 욕할 수 있을것인가? 우리 스스로 공부를 통해 새로운 것을 습득하고 삶에서 실험하는 삶을 살지 않았으면서, 그저 학위가 곧 지식습득의 보증수표처럼 해석되면서 실력 검증을 위한 시스템도 만들지 못했던 우리였으니 말이다. 말이 길어졌다. 김규삼의 <입시명문 사립 정글고등학교>에는 다양한 캐릭터가 나온다. OECD 통계로 한국 청소년들의 자살율이 세계적인 수준이다. 만화에도 항상 자살하지만 다음날이 되면 살아 돌아오는 전교 일등의 '불사조'가 있다.

 

● 내게 돈을 보여줘, 쇼미더 머니

 

그 옆엔 전화 한 통이면 교사를 갈아치울 수 있는 재벌 2세 영수가 있다. 폭력을 행사하는 선생 앞에서 불사조는 항상 영수를 대신 맞게 해서 선생을 자른다. 일명 프렌드 쉴드다. 여기에 폭력교사 4천왕과 '짐이 곧 학교니라'를 외치는 학교재단 '쇼 미 더 머니(나에게 돈을 보여줘)'의 이사장 정안봉이 있다. 루이 14세의 머리 스타일을 한 이사장은 '학교는 학생들의 것'이라는 주장에 '학교는 내 것'이라고 못박는다. 훈화시간에 <동물의 왕국> 비디오를 통해 약육강식의 논리를 가르치며, 출세하려면 명문고등학교에 가야한다고 세뇌한다. 학급내 왕따문제나 아이들의 비전, 그 어떤 것도 관심대상이 못된다. 이사장 친척이 소유한 학교 매점에선 별의 별 걸 다 판다. 체벌을 피해갈 수 있는 표와 닭 머리를 갈아만든 정체불명의 햄버거를 파는 건 기본. 급식 중 올챙이가 나와도 한 마디 하지 못한다. 찍혀서 3년 간 괴로울까 전전긍긍하며 넘어가는 아이들만 있다. '3년만' 참자며 악무는 아이들을 상대로 '만년삼(3년만을 거꾸로했다)'주스를 고가에 판다.

 

이웃의 경쟁학교 이사장과 학교 뺏어먹기 내기를 걸고, 주먹활극을 벌이다가 초등학생들이 "영감님들 현피떠요"란 신고에 경찰에 잡혀가기도 한다. 볼수록 가관인 학교다. 정안봉 이사장의 교육 논리는 현 정권의 철학과 맞닿아있다. 경쟁시장의 일원으로 키워내는 것,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만화 속 세계지만 처절할 만큼의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건, 고등학교 2학년에 올라가는 조카를 둔 덕분일거다. 집에 와서 털어놓는 이야기 속 풍경이 만화와 똑같다. 최근 사립학교의 교장이 수업중인 교사를 체벌한 문제가 인터넷에 한창 화재가 된 적이 있다. 만화 속 세계가 아니라 현실 속 사립학교의 모습이다.

 

 

이 땅에서 사립학교를 정상화하기 위한 '법률 초안'은 기미가 안 보인다. 국민혈세로 보조비를 받으면서도, 철저하게 사립학교 이사장 개인의 소유물로 학교를 생각하는 못된 사고는 언제쯤 뿌리뽑힐 수 있을까? '사학법'을 둘러싸고 한나라당이 보여준 가당찮은 작태를 기억하는 나로서는, 현실에 대해 개탄만 할 뿐. 그저 '우리 아이 대학갈 때까지만'이란 방관자 의식이 사학집단을 범죄자로 영속화 시키는 데 일조하지 않았나 싶다. 만화 속 갖은 비리로 점철된 '쇼미더머니'재단을 실제 현실에서 찾아볼 수 있게 된 건 '우리에게도 책임'이 있다.

 

<정글고등학교>는 교육이 지향성을 상실할 때 드러나는 모순에 대해 논평한다. 인간은 교육을 통해 각자 소속되고 싶은 집단의 일원이 되기 위해 지식을 쌓는다. 문제는 지나친 소속의식이 권력과 충성, 맹종을 요구한다는 점일거다. 매년 바뀌는 입시정책은 아이들을 '공포'에 소구하는 마케팅의 대상으로 삼아, 사교육이란 괴물을 키웠다는게 작가의 주장이다. 상당히 공감한다. 입시정책이 그네 널 뛰듯 하니, 두려움에 사로잡힐 수 밖에. 고정된 룰이 있어야 익숙함이 가져다주는 '안정감'을 누릴 수 있을텐데, 이 나라는 이게 없다. 문제는 이런 현실에서 가장 돈벌이가 되는 집단은 입시정보를 재가공해 파는 관련 집단이다. 우리 시대 사립학교의 진면목을 웃음과 씁쓸한 페이소스로 보여주는 <정글고등학교>. 이 만화의 메세지가 그냥 만화 속 세계로 끝나는 세상. 언제쯤 올 수 있을까?